728x90
베토벤 교향곡 제5번 C단조 작품.67 [운명],1, 2, 3, 4악장 연속 듣기 제1악장 소나타형식 "Allegro con brio"(00:07'11) 제2악장 변주곡 형식 "Adagio con moto"(00:09'08) 제3악장 스케르쪼와 트리오 "Allegro" (00:04'47) 제4악장 피날레. 소나타형식 "Allegro" (00:09'03) Herbert von Karajan, Conductor Berliner Philharmoniker 1971/12 (ⓟ 1990) Stereo Philharmonie, Berlin |
▒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베토벤 : 교향곡 제5번 C단조 「운명」, 작품.67 |
▒ 작품 배경 및 해설
▒ "Schicksall" 1st Mov. Allegro con brio
|
모두 4악장으로 이루어졌다. 교향곡 제3번 「영웅」(1804)이 완성된 뒤 곧 쓰기 시작했으나, 이보다도 먼저, 교향곡 제4번(작품번호 60, 1806)이 완성되고 그 후 본격적인 작업이 계속되어 마침내 1808년에 완성, 빈에서 초연되었다. 이 곡의 이름은 제1악장 첫머리의 동기에 대해 베토벤 자신이 "운명은 이처럼 문을 두드린다" 고 설명한 데 연유하고 있다. 베토벤의 귀에 이상이 생기고, 영원한 애인으로 알려진 테레제 브룬스비크와의 파국, 나폴레옹의 침공 등 시련이 겹쳤던 시대의 작품이다. 기법적으로도 뛰어나 마지막 악장에서는 트롬본 3, 피콜로 1을 곁들여 빛나는 피날레를 장식하고 있다 |
이 곡이 "운명"이라는 별칭으로 널리 알려진 까닭은 다음과 같은 에피소드 때문이다. 그의 제자이며 베토벤의 전기(傳記)로서 유명한 신틀러가, 하루는 이 곡의 제1악장 서두에 나오는 주제의 뜻을 물었더니 베토벤은, "운명은 이렇게 문을 두드린다". 하면서, 힘찬 몸짓까지 하였다고 한다. 그 뒤에 이 교향곡은 "운명"이라는 참으로 극적(劇的)인 제목으로 불리게 되었고, 또 그것이 인기를 높이는 큰 원인이 되고 말았다. 물론 그것은 베토벤의 비통한 생애와 너무나도 잘 통하는 말이기 때문이기는 하지만, 그런데 이 "다다다다-" 하고 두드리는 동기(動機)는, 베토벤이 비인(Wien)의 공원을 산책하다가 들은 새소리를 소재로 한 것이라고 하지만, 그가 새삼스럽게 발명해 낸 것은 아니다. |
음악학자 리틀러는 이렇게 말했다. 이 교향곡은 끝 악장을 목표로 진행되며, 전체가 그렇게 계획된 것만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이 분석은 옳다. 왜냐하면, 제 1악장 서두의 다다다다-라는 모티프가 이 악장만으로써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제 3악장에서도, 제 4악장의 재현부 직전에서도 변형되어 나타나서 전 악장을 튼튼히 결합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1882년 파리에서 이 곡이 연주되었을 때, 한 노병은(老兵)은, 이것은 황제(皇帝)다. 하고 외쳤다고 한다. 그런 뒤에 한때는 황제교향곡으로 불린 적도 있었다고 한다. |
슈만은 이 곡에 대해서 이렇게 말했다. 아무리 들어도, 마치 자연의 현상처럼 외경(畏敬)과 경탄이 새로와진다. 이교향곡은 음악의 세계가 계속되는 한 몇 세기(世紀)고 간에 남을 것이다 베토벤이 이 곡을 작곡한 것은 1808 년(38세)이다. 작곡에 착수한 시기는 분명치 않지만, 대개 제 3번-영웅을 완성한 직후인 1804 년 무렵부터 진지하게 손을 댄 것 같다. 그러나 일설에 의하면 1795 년(25 세) 무렵의 노우트에 이 곡의 선율이라고 생각되는 대목의 스케치가 있다고 하니, 통산하면 약 12 년이나 걸린 셈이 된다. 이런 점을 보면 베토벤은 정말로 신중파(愼重派)다. 하기는 그랬으니까 이같은, 하나의 음도 허실이 없는, 견고하고 정밀한 구성을 갖춘 걸작이 이루어졌지만 |
암흑에서 광명으로~! 이것은 평생을 통한 베토벤의 신조였는데, 그것이 작품성에서 보다 힘차고 감동적으로 표현된 것이 이 제 5 번이다. 베토벤의 교향곡으로서 보다 장대(壯大)하고, 보다 울림이 좋고, 보다 정돈된 곡은 이 곡 말고도 생각할 수 있겠지만, 그의 의지의 응결(凝結)이라는 면으로 볼 때는 이 제 5번이 단연 대표적이다. 이제 우리에게 있어서는 베토벤의 운명, 운명의 베토벤 같은 느낌이 들 정도다. 그런데 요즘 외국에서는 운명이라는 별칭을 쓰지 않고 그냥 제 5번 만으로 표시한다. 레코드를 보아도 역시 그렇다. 제 3번, 제 6번등은 뚜렷이 Eroica, Pastoral 등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유독 제 5번의 레코드 자켓에는 아무 표지가 없다. 그 이유는 영웅이나 전원은 베토벤 자신이 붙인 명칭인데 반해서, 이 제 5번에 대해서는 운명은 이렇게 문을 두드린다 고 말했다는 데서 후세에 운명이라는 별칭이 생겼기 때문인 듯 하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이 별칭이 너무나도 사랑을 받고 있어서, 운명이라 해야 곧 알지, 제 5번이라면 빨리 알아차리지 못할 정도로 되어 있다. 언젠가는 생각해 봐야 할 문제인 줄 안다. 굳이 운명 운명하고 강조하지 않더라도 마음을 가라 앉혀서 조용히 듣고 있노라면, 높고 두꺼운 운명의 벽을 하나하나 넘어서 가시밭길을 돌진하는 베토벤의 모습이 저절로 |
▒ 작품 구성 및 해설
▒ 제1악장 소나타 형식(Allegro con brio) |
네 개의 음으로 된 그 유명한 제1주재가 힘차게 연주된다. 이 것은 남성적이고 장쾌하고 호방하다. 이 주재는 여러 모양으로 변형되어 나타나면서 곡은 클라이맥스로 향하여 박진감이 더해진다. 호른 독주의 브릿지에 이어 바이올린, 클라리넷, 풀륫이 차례로 제2 주재를 부드럽게 연주한다. 보통 제1주재가 남성적이면 제2주재는 여성적이고 부드럽게 구성되어 조화를 이루어 나간다. 발전부에서는 화려한 음색의 호른의 연주에서 시작하여 시종일관 숨 쉴 틈도 주지 않고 주재는 종횡무진한 활약을 거듭하여 드디어 최고의 정점에서 재현부로 이어진다. 매력적인 오보의 Adagio 연주가 잠간 휴식감을 주고는 다시 박진감을 더하여 나가다가 화려한 코다로 장엄한 끝마침을 한다. |
Beethoven_Symphony No.5 in C minor, Op.67 - 1 Allegro con brio Berliner Philharmoniker, Herbert von Karajan, Conductor (제1악장 소나타형식 Allegro con brio) |
▒ 제2악장 변주곡 형식(Adagio con moto) |
변주곡 형식이지만 얽매이지 않은 자유로운 구성이다. 비올라와 첼로가 연주하는 주재가 아름다운 분위기를 연출하지만역시 곡은 전체적으로 긴장감도는 구성이다. 처절하게도 위풍당당한 제2주재가 상행의 가락을 연주하면서 박진감으로 넘쳐나게 곡을 이끌어 나간다. 이어 1, 2, 3의 변주가 곡을 수놓아가면서 사이사이에 힘찬 제 2주재를 넣어 더욱 처절하게 운명과 싸움을 계속하여 나가는 것이다. 로망롤랭은 이 악장을 베토벤이 운명과 엎치락뒤치락 투쟁하는 장면을 그린 것 같다고 표현하였다 |
Beethoven_Symphony No.5 in C minor, Op.67 - 2 "Adagio con moto" The Herzliya Chamber Orchestra, Harvey Bordowitz, conductor (제2악장 변주곡 형식 "Adagio con moto") |
▒ 제3악장 스케르쪼 형식(Allegro) |
스케르쪼의 주재는 상행하는 분산화음형의 가락으로 나타나지만 곧 이어 운명의 주재가 그 모양을 바꾸어 다시 3박자로 나타난다. 두 개의 주재가 번갈아 주고 받다가 트리오 부분으로 넘어간다. 트리오 부분은 푸가기법이 도입되어 박진감 넘쳐 나면서도 조용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다시 스케르쪼가 나타나고 드디어 폭풍 전야의 고요함 속으로 빨려들어간다 |
Beethoven_Symphony No.5 in C minor, Op.67 - 3 "Allegro" Berliner Philharmoniker, Herbert von Karajan, Conductor (제3악장 스케르쪼와 트리오 "Allegro") |
▒ 제4악장 피날레 소나타형식(Allegro) |
3악장의 끝에서 폭풍전야의 고요함은 크레센도 되다가 악장 사이의 중단이 없이 드디어 폭발하여 승리의 함성을 내어 지르는 제1주제를 튜티로 연주한다. 베토벤은 드디어 운명과의 처절한 싸움에서 승리하여 승리의 함성을 내어 지르는 것 같다고 로망롤랭이 말했다. 그래서 이 악장을 "승리의 악장"이라고도 불린다. 1, 2, 3 악장은 사실 이 4악장을 향하여 힘을 축적시켜 온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연결부분을 거쳐서 제2주제의 처절한 아름다움이 나타난다. 연결부분과 코데타를 거쳐 곡은 힘차게 발전부를 향해 나간다. 제1주제와 제2주제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발전부는 힘찬 발전을 계속하다가 잠시 3악장의 끝부분 폭풍전야를 만들었던 부분을 다시 내 세운 다음 재현부로 돌입한다. 이 곡의 특징인 대단한 규모의 코다로 화려한 끝을 장식한다. |
Beethoven:Symphony No.5 in C minor, Op.67-4 "Allegro" Berliner Philharmoniker, Herbert von Karajan, Conductor (제4악장 피날레. 소나타형식 "Allegro") |
'※ Music - > Clas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uro Giuliani : Guitar - Concerto No. 1 in A major, Op.30 (0) | 2020.11.17 |
---|---|
Bolero - Maurice Ravel (0) | 2020.11.08 |
Light Cavalry Overture - Franz Von Suppe (0) | 2020.11.07 |
베토벤 교향곡 제5번 C단조 작품.67 [운명](Symphony No.5 in C minor, Op.67 'Fate') (0) | 2020.08.08 |
댓글